기록

북어 효능 영양성분 원기회복 면역력강화 탈모예방 당뇨 피부미용 기록

IN&OUT 2020. 7. 24. 16:44
반응형

ㄱ. 북어는 어떤 식품일까?

 

북어는 황태와 유사한 식품이지만 황태처럼 겨우내 녹았다 얼었다 하는 과정 없이 그냥 뻣뻣한 채로 건조시킨 것을 말한다.

 

우리는 이러한 북어를 흔히 북엇국의 재료로 쓴다. 그리고 생으로 먹기도 하는데 생으로는 술안주로 먹기도 하며, 찢은 살을 고추장과 기타 양념으로 조려서 먹기도 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간장과 마요네즈, 청양고추를 썰어넣은 소스에 찍어기도 한다.

 

황태보다는 식감이 질기지만 황태처럼 양념구이를 해먹어도 좋으며 일찍이 북어는 패야 제맛이라고 하는데, 이는 건어물이라는 특성상 나무판자처럼 단단하기 때문에 사람이 먹으려면 방망이로 두들겨서 좀 부드럽게 만들어야 했던 특성에서 유래되었다.

 

"황태"처럼 말리는 과정에서 얼고 녹는 과정을 반복하여 속살이 부드러워진 것을 더덕북어라고 하며 북어는 신라 시절부터 서양에 육포가 있듯이 한반도 최초의 전투식량으로 손꼽히곤 한다. 다만 명태항목을 참고하면 알겠지만 의외로 명태를 먹기 시작한지 얼마 안 됐을 수도 있기 때문에 명태 및 북어의 어원과 비교해보면 이 문단과 상충되는 점이 있다. 북어가 아니라 단순히 말린 생선이 북어로 와전된 것일 수 도있다.

 

근래 들어 남획으로 인해 근해의 명태 어획량이 줄어 값이 비싸져가고 있는데 이에 따라 복원사업 및 양식 연구 사업이 추진중에 있다.

 

굴비도 원래 북어처럼 꼬들꼬들하게 말린 형태였으나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생조기에 가깝게 변형된 식품이다. 그리고 북어를 세는 단위로는 '쾌'가 있다. 한 쾌는 북어 20마리로 북어만을 세는 단위이다.

 


또한 북어는 전통 방식으로 혼례를 치를때 새신랑을 묶고 발바닥을 때리는 풍습이 있었는데, 이때 몽둥이 대신 쓰여지기도 하였으며 구전 민간신앙의 영향으로 고삿상에 간혹 북어가 오르기도 한다. 특히 회사나 자영업 점포가 새로 개업을 했거나 사업장을 새로 옮겨서 문을 열었을 때, 자동차를 새로 사서 첫 운행을 하기 전에 치르는 무사고 기원 고사 때 북어가 제물로 사용한다.

 

이는 예로부터 북어가 신과 인간을 이어주는 교감의 매개체로서 북어를 신성시했다는 구전 설화가 배경이며 북어가 하늘의 신과 인간을 이어주는 매개체인 만큼 인간의 무사한 생활을 하늘에 고하기 위해 북어를 이용한 것이다.

 

특히 신장개업이나 이전개업 고사를 지낸 뒤에는 주둥이가 벌어진 북어를 명주실에 묶어서 사업장의 정문 위에 걸어놓는데 이는 북어를 일종의 액막이로 믿는 것에서 비롯됐다. 쉽게 말해 사업장으로 들어오는 나쁜 기운을 북어가 먹어 버린다는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다.

 

북어는 명태를 잡아 겨울 동안 녹였다 얼렸다 하는과정을 셀 수 없을 만큼 반복하여 완전히 건조시킨것을 말한다. 북어는 그냥 명태보다 씹는 맛이 좋고, 고소하며 국물을 냈을때 시원하고 담백한 국물맛을 낸다. 이런 북어는 보통 탕이나 조림 또는 무침 등 다양하게 요리재료로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북어는 양질의 단백질과 함께 우리 몸에 유익한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좋은 효능을 가지고 있는데 오늘은 북어의 이러한 효능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자.

 

ㄴ. 북어의 기본 정보를 알아보자.

 

· 구입요령 : 품질이 가장 좋은 건명태는 더덕북어라고 한다. 부풀어 더덕처럼 마른 북어인데 빛이 누렇고 살이 연하다. 부드럽고 도톰한 것이 신선하고 좋은 북어다.

 

· 유사재료 : 황태 (황태보다 더 말린 것이 북어이다.)

 

· 보관온도 : 18~22℃

 

· 보관일 : 3개월

 

· 보관법 : 북어는 습기에 매우 약해 곰팡이가 발생하기 쉽다. 이럴 때는 북어와 건조된 녹차 잎을 함께 보관하면 방습과 방충을 해결할 수 있다. 바람이 통하고 그늘진 곳에 매달아 물이 닿지 않게 보관한다.

 

· 손질법 : 북어를 손질할 때는 물에 적셔 촉촉하게 만든 후 거즈에 싸서 방망이로 두드려 부드럽게 만든다. 처음부터 칼로 토막을 내면 힘이 많이 들어갈 뿐 아니라 북어 살을 씹는 맛도 덜하다.

 

· 산지특성 및 기타정보 : 명태는 한대성 어류이다. 한국 동해, 일본 북부, 오호츠크해, 베링해, 캘리포니아 등 북태평양 해역에 분포한다.

 

· 섭취방법 : 북어는 시원한 탕, 국, 북어보푸라기, 북어조림, 무침 등 다양한 요리로 이용된다.

 

· 궁합음식정보 : 콩나물 (단백질이 풍부한 북어는 콩나물과 같이 먹으면 부족된 비타민을 보충할 수 있다.)

 

 

ㄷ. 북어의 효능

1. 원기회복 및 해독 작용에 좋은 북어

북어는 생태와 비교했을때 5배 이상의 단백질과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는 병후 몸의 회복을 도와준다. 그리고 고칼슘 고단백으로 애완견에게도 좋은 식품이다.

또한 술을 먹고 나서 북어국을 먹으면 해독작용이 뛰어나 몸속의 독소 배출에 효능이 있다.

2. 면역력 강화 및 대장암 예방 및 개선

북어에는 비타민B3가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이는 체내 면역 세포를 활성화 시켜주는 효능이 있어 각종 바이러스와 세균에 우리 몸을 강하게 만들어준다. 또한 비타민B3는 항암작용에도 뛰어난 효과를 보이며 대장암 등의 암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준다.

 

3. 탈모 예방 및 당뇨 예방 및 개선

북어에는 우유의 30배가 넘는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는 탈모예방에 탁월한 효능을 보이는 식품이다.

또 북어는 아르기닌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당대사 능력을 향상시키고 체지방 감소를 도와 당뇨예방 및 당요증상 완화에 도움을 준다.

 

4. 피부 미용 및 수족 냉증 개선

우리 피부는 콜라겐이 75%를 차지하고 있는데 북어는 콜라겐을 복구하는데 도움을 준다.

북어의 머리와 꼬리 껍질 등에는 또한 풍부한 콜라겐이 함유되어 있고 어류의 콜라겐 흡수율이 80%이상되서 2%인 육류보다 훨씬 좋은 콜라겐 흡수율을 보인다.

또 북어는 무기질과 아미노산 성분들이 많이 있어 신진대사 활성화 및 혈액의 원활한 흐름을 도우므로 손발이 차가운 증상을 개선하는데 좋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