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록

생강 효능 영양성분 주의할점 부작용 고르는법 보관법 생강차 끓이는법 기록

반응형

ㄱ. 생강은 어떤 식품일까??


중국에는 2500년 전부터 생강을 키웠다는 기록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고려시대 때 전래되었다고 한다. 오늘날 완주군의 특산물이며 고려시대 당시에는 생강이 매우 귀중한 재료로 생강을 상으로 내렸다는 기록이나 생강을 차지하기 위해 싸움까지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고려시대에는 인삼차는 서민들이 마시는 차였고 생강차는 임금과 귀족들이 마시던 차였다고 한다.

 

생강은 다른 말로 새앙·새양이라고도 하며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이고 채소로 재배한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자라고 다육질이며 덩어리 모양이고 황색이며 매운 맛과 향긋한 냄새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생강 뿌리줄기의 각 마디에서 잎집으로 만들어진 가짜 줄기가 곧게 서고 높이가 30∼50cm에 달하며 윗부분에 잎이 2줄로 배열하고 있다. 생강의 잎은 어긋나고 줄 모양의 바소꼴이며 양끝이 좁고 밑 부분이 긴 잎집이 된다.

 

생강은 특이하게 한국에서는 꽃이 피지 않으나 열대 지방에서는 8월에 잎집에 싸인 길이 20∼25cm의 꽃줄기가 나오고 그 끝에 꽃이삭이 달리며 꽃이 핀다. 꽃은 포 사이에서 나오고 길이가 4∼8cm이며 꽃받침은 짧은 통 모양이고 화관의 끝 부분은 3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끝이 뾰족하고 수술은 1개이고 꽃밥은 황색이다. 씨방은 하위이며 암술대는 실처럼 가는것이 특징이다.

 

정확한 생강의 원산지는 동인도의 힌두스댄 지역이 원산지로 추정되며 중국에서는 2,500여년 전에 쓰촨성에서 생산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한국에서는 고려시대 이전부터 재배했으리라 추정하고 있으며 고려시대 저서인《고려사》에는 고려 현종 9년(1018년)에 생강을 재배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고려시대 문헌인 《향약구급방》에 약용 식물의 하나로 등장하고 있다. 오늘 날에는 전라북도·충청남도 등지에서 재배되며, 주로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에서 대량으로 생산하고 있다.

 

또한 한방에서도 생강은 자주 쓰이는데 뿌리줄기 말린 것을 약재로 쓴다. 보통 생강은 감기로 인한 오한, 발열, 두통, 구토, 해수, 가래를 치료하며 식중독으로 인한 복통설사, 복만에도 효과가 있어 끓는물에 생강을 달여서 차로 마시는 것이 가장 보편적이다.

 

생강의 약리작용으로 위액분비촉진, 소화력 증진, 심장흥분 작용, 혈액순환촉진, 억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한자어로는 강근(姜根), 모강(母薑), 백랄운(百辣蕓), 염량소자(炎凉小子), 인지초(因地草), 자강(子薑), 자강(紫薑), 건강(乾薑)이라 하며 또, 뿌리줄기는 말려 갈아서 빵·과자·카레·소스·피클 등에 향신료로 사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껍질을 벗기고 끓인 후 시럽에 넣어 절이기도 하며 생강차와 생강주 등을 만들기도 한다.

 

생강은 고온성 작물이므로 발아하려면 기온이 18℃ 이상이어야 하고, 20∼30℃에서 잘 자라며, 15℃ 이하에서는 자라지 못한다. 번식은 주로 뿌리줄기를 꺾꽂이한다.

 

생강은 생강과에 속하는 여러살이해 풀이며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이다. 생강은 특유의 향과 매운 맛을 가지고 있는데 매운맛은 진저롤이라는 성분이 생강에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중국의 성인 공자가 몸을 따듯하게 하기 위해 식사때마다 반드시 챙겨 먹은 음식이 바로 생강이라는 말도 있듯이 생강은 강한 향을 가진 향신료이지만 효능 면에서는최고의 식재료라고 할 수 있다.

 

ㄴ. 좋은 생강을 고르는법

좋은 생강은 육질이 단단하며 크기가 크고 색은 황토색을 나타내는 생강이 좋다. 그리고 생강의 발이 굵고 껍질이 잘 벗겨지는 것, 고유의 매운 맛과 향기가 강한것이 좋은 생강이다. 또한 모양이 울퉁불퉁하고 한 덩어리에 여러 조각이 붙어있는 생강이 좋은 생강이다.

ㄷ. 생강의 보관법

생강은 오랫동안 보관해야 하는 경우 흙이 묻어 있는 상태로 신문지에 싸 온도변화가 없는 흙이나 모래에 묻어 두면 된다, 하지만 손질한 것은 젖은 행주나 비닐에 싸 냉장보관하여 2일정도 보관할 수있다. 보관온도는 0~5도가 좋다.

ㄹ. 생강의 효능 및 영양성분

1. 몸을 따듯하게해 여성 질환을 예방해준다.

생강은 부신수질이라는 호르몬을 자극해 아드레날린의 분비를 촉진하고 혈관을 확장 시켜 혈액순환에 도움을줘 몸을 따듯한게 만든다. 따라서 체온이 높아져 냉기때문에 생기는 여성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다.

 

2. 면역력을 강화 시켜 잔병치례를 예방한다.

생강에 들어있는 성분은 우리 몸속의 백혈구 수를 늘려 면역력을 상승시켜준다.

 

3. 부기를 제거하는데 도움을 준다.

생강은 몸안의 각종 기관을 자극하여 땀을 배출하게 하고 소변을 보게하여 몸의 수분조절을 도와 부기를 가라앉혀 준다.

 

4. 가래와 기침을 없애는데 도움을 준다.

생강의 매운맛을 내는 성분은 진저롤과 쇼가올인데 이 성분은 몸의 찬 기운을 제거하는데 도움을 주어 감기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준다. 그리고 생강을 가래를 없애고 뇌에서 기침을 유발하는 중추신경계에 작용해 기침을 가앉히는데 도움을 준다. 하지만 이미 목이 만이 부은 상태이면 생강을 먹지 않는 것이좋다.

 

5. 살균 효과로 몸속의 세균을 제거하는데 도움을 준다.

생강은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폐렴의 원인인 세균 그리고 무좀같은 병의 원인인 곰팡이 진균에 대한 향균 능력이 탁월하여 몸 속을 더욱 건강하게 만들어준다.

 

6. 혈줄 콜레스테롤을 제거하여 준다.

몸속의 나쁜 콜레스테롤을 생강의 진저롤이 담즙 분비를 촉진 시켜 없애는데 도움을 준다.

 

7. 노화방지효과가 있다.

생강은 인체에 생기는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효과가 탁월한다. 항산화작용이 탁월하다는 말인데 이는 활성한소 억제 및 제거를 하여 노화예방을 물론 갱년기 여성에게도 도움이 된다.

 

8. 진통효과가 있는 생강

생강은 머리가 아픈 두통이나 약간의 통증에도 도움이 되는데 생강에는 아스피린같은 진통제에 들어있는 성분과 비슷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진통제 대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화학약제와 달리 위벽을 보호할 수 있다.

 

9. 소화흡수에 도움을 주는 생강

생강은 위벽의 혈액순환을 도와 위장 활동을 촉진시켜 소화작용에 도움을 준다.

 

ㅁ. 생강차 (만드는)끓이는법

 

-생강 100g 기준 황설탕 1컵 물1컵을 준비한다.(생강청 만들기)

 

1. 생강의 껍질을 모두 벗겨 얇게 썬다.

2. 냄비에 황설탈과 물을 어 시름을 만드는데 설탕이 녹아 끓으면 젓지 말고 찬곳에 놔두어 식힌다.

3. 밀폐용기에 저민 생강을 넣고 그늘진 곳에서 2주이상 삭힌다.

4. 생강의 알싸한 맛이 많이 우러나면 뜨거운 물을 끓여 두 숟가락 정도 타서 마신다.

생강 부작용및 주의사항

생강은 치질환자가 섭취하면 좋지않은 식품이다. 혈관이 확장되 증상이 악화될 수도 있기 대문이다.

그리고 위가 약한 사람이 생강을 먹으면 위액이 지나치게 분비되서 위점막이 손상 될 수 있다.

또 혈압이 높고 불면증이 있는 사람이 생강을 먹으면 체내열이 올라가는 등 증상이 심해 질 수 있으니 주의하도록 하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