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사회복지론] 학교 사회복지사의 정의와 역활 그리고 직무에 대해 알아보자. 정리 및 요약 포함
1. 학교사회복지사의 정의 가. 학교사회복지사의 정의 - 한국사회복지사협회“학생 개개인의 지적・사회적・정서적욕구의 문제해결에 관심을갖도록 도와주며, 이를 통하여 모든 학생들이 학교에서 공평한 교육기회와 성취감을 얻을 수 있도록 사회복지의 다양한 실천 방법을 활용하는 사회복지사”라고 정의. - 표갑수(2000)는 “학생의 만족스런 학교경험을 위하여 학생, 부모, 교사, 학교, 지역사회로부터 모든 자원을 동원하여, 학생의 정서적, 신체적, 지적 능력을 개발하고, 문제를 해결하여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도록 돕는 기능을 하는 사회복지사”라 정의. - 홍춘우(2004)는 “학교의 가장 큰 구성원을 이루고 있는 학생이 자신의 능력과 잠재력을충분히 발휘하고, 건강한 인격체로 거듭나며, 삶의 질을 높이고 행복한 생활인이..
[학교사회복지론] 학교사회복지의 대상 우선순위 관리대상 선별주의 보편주의
1. 학교사회복지의 대상 학교교육의 목적달성과 관련된 모든 개인, 집단, 조직 및 지역사회의 체계가 사회복지의 실천대상이지만, 학교사회복지의 대상은 일차적으로 학교생활을 경험하는 학생들이고, 다음으로 학생들의 사회적 기능 수행과 교육목적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체계, 교사, 부모 및 지역사회체계가 포함될 수 있다. ▷ 사회복지실천에 있어 대상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해야 하는 이유는 서비스의 종류와 실천방법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이기 때문이다. 가. 학교사회복지 우선순위 대상 1) 대인관계에 문제를 보이는 학생; 폭력행동, 비사교적, 교사나 성인의 권위에 대항하는 행동 등 2) 심리·정신적인 문제를 지닌 학생; 우울, 소외, 공포, 불안, 자살기도 등 3) 학교규칙을 위반하는 학생; 장기결석, 등교거부,..